세계 최고 수준의 외래진료 실적 대한민국의 ‘의료 취약지’
[칼럼]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장·고려대 의대 명예교수
해외 AI에 의료 종속? ‘K-의료 파운데이션 모델’이 답일까
기기.IT 의료기기 전문가들 "국내 의료 특성 고려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필요"…데이터 개방하고 컴퓨팅 인프라 구축 지원해야
정은경 장관 "2030년까지 수가체계 정비, 필수의료 적정 보상 이룰 것"
정책 정책 정은경 복지부 장관 14일 충북대병원 방문, 필수의료 종사 의료진·전공의와 간담회 개최
사직 전공의 1098명 "중증·핵심의료 살릴 골든타임…한 사람, 한 사람 붙잡아야"
정책 정책 중증·핵심의료 전공의 1000여명 공동 성명서…"수련환경 개선하고 입영 전공의 수련 연속성 보장해야"
[국민중심 의료개혁] "'의사 사법리스크 크다'는 의협 연구, '기소율' 아닌 '피의자 수' 추계…수치 오류"
정책 정책 보사연 보고서, 의협 의정연 연구에서 기소된 의사 연평균 752명 VS 보사연 연구는 의료인 1심 피고인 수 연평균 38.4명
오늘 전공의 모집 마감한 길병원, '지원자 미달'에 모집 연장 검토
의료 병원 사직 정원은 대부분 돌아왔지만 필수과 등 이탈자 있어
선진국 수가협상 구조 살펴보니…캐나다 '정부-의사 동수'·프랑스 '의사 과반수 찬성 협상안 채택'
정책 정책 의협 의료정책연구원, '외국의 수가계약제도 사례 연구' 정책현안분석 보고서 14일 공개
제약바이오 (1/2)
국내외 제약.바이오 뉴스를 심층적이고 발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전체보기
네이버·AWS·MS·뷰노·코어라인소프트 등 AI기업 총출동 2025' 미래 헬스케어 트렌드 컨퍼런스에 초대합니다
네이버·AWS·MS·뷰노·코어라인소프트·쓰리빌리언·에어스메디컬 등 AI기업 총출동...일본 3조 매출 의료정보 플랫폼 M3 특별강연
美국립보건원장 "연방정부의 mRNA 백신 개발 중단 이유는 대중의 불신 때문"
"유망한 기술이지만 대중 신뢰 얻지 못한 플랫폼은 공중보건 사명 수행 못해"
쓰리빌리언, 2025년 상반기 매출 46억원… 전년 대비 107% 성장
2분기 매출 26억원, 전년 대비 101%↑… AI 기반 진단 서비스 성장세 지속
헬스케어 확장 나서는 네이버, 임상시험 플랫폼 기업 제이앤피메디에 투자
AI 기반 자체 개발 헬스케어 플랫폼 고도화, 글로벌 도전 위해 맞손
개원의가 많이 본 기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알츠하이머 및 파킨슨병 오가노이드 모델 글로벌 협력 체결
룩셈부르크 소재 중뇌 오가노이드 전문 기업 오가노테라퓨틱스와 플랫폼 공동 마케팅 협력
의대 교수가 많이 본 기사
퓨쳐켐, 상반기 매출 27%↑·영업손실 20%↓…전립선암 '테라노스틱스' 전략 가속
방사성의약품 판매 확대·자회사 수익성 개선으로 지속적인 실적 성장
단신
병원·기업·의료계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과 실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인핸드플러스-수서종합사회복지관, '손목 위의 주치의' 사업 위한 업무 협약 체결
휴온스글로벌, 2분기 매출액 2127억원·영업이익 253억원
셀트리온제약, 2분기 매출액 1313억 원, 영업이익 155억 원 달성
대원제약, 상반기 매출 3017억 원...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
인핸드플러스-길병원-충북대병원, 스마트 임상시험 위한 공동 임상연구 착수
릴리, 마운자로 국내 출시…이르면 21일부터 환자 처방 가능
도매 업체에서 20일부터 마운자로 유통 시작
리가켐바이오, 2025 WCLC에서 'CEACAM5-ADC' 연구성과 발표
CB58A, 경쟁 CEACAM5-ADC 대비 강력한 효능 가능성 입증…2027년 IND 제출 예정
칼리시와 영남대 연구팀, AI로 '할로겐 독성'의 통념을 깨다
메디톡스 2분기 매출 616억·영업익 63억
2분기 연속 600억 매출 돌파…소송 일부 종료로 판관비 감소세
토큐
메디게이트뉴스를 포함해 여러 매체에서 화제가 된 내용을 한 눈에 보여드립니다.
의대증원 놓고 의∙정 갈등 최고조
정부가 발표한 의대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의료계 반발이 거세다. 전공의들이 사직하고, 의대생들이 휴학하는 가운데 정부가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면서 의∙정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박민식 2024.02.21
의대증원 의∙정 강대 강 대치 장기화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밝힌 뒤로 전공의와 의대생을 필두로 정부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한 달이 넘도록 이어지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연일 강도를 높여가며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 조운 2024.03.19
이재명 서울대병원 전원 논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초 이송된 부산대병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수술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특히 최근 공공의대법, 지역의사제 통과에 힘썼던 민주당의 대표인 만큼 그의 이송 소식은 의료계의 공분을 샀다. 이지원 2024.01.12
전체 뉴스 순위
의사를 위한 맞춤 기사
제약 중심 맞춤 기사
의료 중심 맞춤 기사
칼럼/MG툰
수가인상률이 물가상승률의 3.6배라는 한 서울...
[디지티의 미국의사일기] 전공의의 시간은 빠르...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